⚠️ 예금자 보호 안 되는 금융상품 총정리 (펀드, CMA, 리츠 등)

⚠️ 예금자 보호 안 되는 금융상품 총정리 (펀드, CMA, 리츠 등)

예금자 보호 제도가 있다고 해서 모든 금융상품이 안전한 건 아닙니다. 일부 상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손실 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
특히 고금리를 보고 투자하는 경우, 상품의 성격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
금융회사 망했을 때 대처법👆

❌ 예금자 보호가 안 되는 대표 금융상품

  • 📉 펀드 – 주식형, 채권형, 혼합형 등 모든 펀드는 보호 대상 아님
  • 🏠 리츠(REITs) – 부동산 투자 신탁 상품도 비보호
  • 🌎 외화예금 – 환율 변동성과 함께 예금자 보호 제외
  • 📦 CMA (투자형) – 증권사 CMA 계좌는 투자형이면 보호되지 않음
  • 📝 실적배당형 신탁 – 실적에 따라 원금 손실 가능, 보호 대상 아님
  • 🏢 ELS/DLS – 파생결합상품으로 고위험, 보호 제외
  • 📊 회사채, 전단채 – 발행회사 부도 시 원금 손실 가능

🔍 CMA 계좌, 다 같은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!

✔️ 종금사 CMA (보호 O)
예: 하나종금, 대신종금 등 종합금융회사의 CMA는 보호 대상

❌ 증권사 CMA (보호 X)
예: 키움, 미래에셋, NH투자, 한국투자 등
이자율이 높지만 예금자 보호 제외입니다.

금융감독원 즉시 체크👆

💬 예금자 보호법 대상 상품과 아닌 상품의 차이는?

- 보호 대상: 정기예금, 적금, 보통예금, 일부 신탁
- 비보호: 투자상품(위험부담 있음), 외화표시 예금

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는 것은 원금보장이 명확하고, 계약상 이자가 정해진 상품입니다.


📌 실수하지 않으려면?

  • ✅ 가입 전 '예금자 보호 대상 여부' 반드시 확인
  • ✅ 고수익 상품은 고위험 → 원금 손실 가능
  • ✅ 증권사나 보험사의 상품은 상품설명서 필독

👉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FINE (금융감독원)에서 상품별 보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예금자 보호 완전정복👆

🔗 관련 글 보기


⚠️ “이자만 보고 투자하지 마세요!
보호 안 되는 상품은 원금 손실 시, 아무도 책임져주지 않습니다.”

다음 이전